금 투자 쉽게 할 수 있는 방법 4가지 추천

지난번 포스팅으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, 그렇다면 금 투자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. 금을 직접 사야하나 싶은데 과연 금을 투자할 수 있는 쉬운 방법들은 어떤게 있을까요?

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초보 투자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주요 방법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

금 투자 방법


금 통장 (골드뱅킹)

금 통장은 은행에서 개설할 수 있는 가장 접근성 높은 금 투자 방법입니다.

  • 0.01g 단위로 소액 투자 가능
  • 입출금이 자유롭고 예약 매매 서비스 이용 가능
  • 실물 금을 보관할 필요 없음
  • 매매 시 1% 수수료, 매매차익에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
본인이 주거래로 사용하는 시중 은행 대부분에서 금 구매가 가능하며 어플에서도 손쉽게 금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. 제가 주로 사용하는 우리은행을 예시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

우리은행에선 금융거래 – 골드/실버 – 상품관리 – 골드계좌 입금/지급을 선택하셔서 금 구매가 가능합니다.



KRX 금시장

증권사에서 전용 계좌를 개설하여 주식처럼 금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.

  • 1g 단위로 거래 가능
  •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
  • 수수료는 0.2~0.4% 수준
  • 순수하게 금 시세만 보고 투자 가능

제가 주로 사용하는 증권사인 삼성증권에서 금현물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삼성증권의 경우 국내주식 – 금현물 – 금현물주문에서 금 구매가 가능합니다.



금 ETF

금 관련 상장지수펀드(ETF)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.

  • 주식처럼 쉽게 매매 가능
  • 소액으로 분산 투자 가능
  • 실물 금 보관 부담 없음
  • 매매차익에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

한국 금 ETF로는 KODEX 골드선물(H), TIGER 골드선물(H), ACE KRX금현물이 있습니다. 각 종목을 클릭하면 인베스팅닷컴에서 시세 확인이 가능합니다.



실물 골드바

실물 금을 직접 구매하는 방법입니다.

  • 한국금거래소, 은행, 금은방 등에서 구매 가능
  • 구매 시 부가가치세 10%, 수수료 5% 발생
  • 보관과 보안에 신경 써야 함



초보 투자자 추천 방법


초보 투자자라면 금 통장이나 KRX 금시장을 통한 투자가 가장 접근하기 쉬운 방법입니다.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고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입니다. 또한 금 투자 시 세금과 수수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합니다.



세금 혜택

  •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면제됩니다
  • 배당소득세와 이자소득세도 부과되지 않습니다
  • 금 현물 수입 시 관세가 면제됩니다

이는 금 ETF나 금 펀드 등 다른 금 투자 상품에 비해 큰 세금 혜택입니다. 다른 금융상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15.4%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


낮은 수수료

  • 온라인 거래 시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0.2~0.3% 수준의 낮은 수수료를 부과합니다
  • 일부 증권사의 경우 0.165%(미래에셋증권)나 0.22%(나무증권, 하나증권) 등 더 낮은 수수료를 제공합니다

이는 은행의 골드뱅킹(1% 수수료)이나 금 펀드(1~1.5% 선취수수료)에 비해 훨씬 저렴합니다

기타 장점

  • 1g 단위로 소액 투자가 가능합니다
  •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
  •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안전하게 보관해주므로 실물 보관에 대한 부담이 없습니다

주의사항

일부 증권사의 경우 보관수수료를 별도로 부과할 수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

100g 이상 보유 시 실물로 인출할 수 있지만, 이 경우 10%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됩니다


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